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천문학의 정의

by 징칠 2022. 9. 6.
반응형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 영역

천문학(astronomy)은 자연 과학의 한 분야로써 천체학이라고도 하는데 천체(별, 행성, 혜성, 은하)와 지구 대기권의 바깥쪽으로부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과 같은 현상들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우주의 시작 및 진화, 천체의 운동, 물리, 화학, 기상,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천문학은 그리스어로 별을 의미하는 단어와 법칙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는데 별의 움직임이나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기록 및 연구하는 학문이 천문학입니다. 일반적으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나 원래의 의미는 천문학은 지구 대기 밖의 천체의 물리적, 화학적인 성질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학문이며, 천체물리학은 천문학의 한 갈래로 천체의 움직임을 물리적, 운동학적으로 이해하는 학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중국과는 관련 없는 독자적인 천문 사상이 있었다고 보여지는데 그 이유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몇몇 별자리 이름이나 얽힌 전설, 미리내라고 하는 은하수의 고유 명칭들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동서양에서 천문에 관심을 갖은 이유는 농사와 일기 예보, 해양, 지리 측정, 등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 동서양의 초기 문명(바빌론, 마야, 인도, 그리스, 중국, 이란, 등)은 밤하늘을 관측하고 기록했던 유물도 발견되어 과거 초기 문명에서부터 천문학이 발달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 동서양의 초기 문명에서는 천문대가 발견되었으며 천문대에서는 하늘에서 별과 행성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성학이 발달하였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당시에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달이 공전하고 있다는 천동설을 믿고 있었습니다. 천문학의 역사 중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바빌론의 천문학자들이 월식은 사로스라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기원전 3세기에는 그리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지구의 크기, 달과 태양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였고 처음으로 지동설이 제기되었습니다.
과거 천문학은 사람들이 별의 움직임이나 날씨의 변화와 같은 현상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면서 발달한 학문으로 많은 유적을 남겼는데 대표적인 선사 시대의 유적으로는 피라미드와 스톤헨지가 있습니다. 스톤헨지는 천문학적인 목적으로 건설된 유적으로 제사의 목적 이외에도 매해 농사를 같은 시기에 짓기 위해 천체를 관측하는 데에 쓰였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천문학은 17세기 전후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체의 더 먼 곳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면서 엄청난 발전을 하였는데 이런 망원경의 발명이 천문학의 현대 과학화를 끌어냈습니다. 현대 천문학은 측성학, 역법, 천체 항법, 점성술까지의 수많은 분야를 천문학이라고 규정했던 과거의 천문학에 물리학, 화학, 공학 등을 접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대 천문학의 대표적인 예로는 중력, 별의 핵융합, 중상자별, 블랙홀, 퀘이사 등의 연구에 물리학과 화학 등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천문학의 현대화를 가져온 망원경은 현재 중력파 측정에 이용되는 LIGO, 허블 우주망원경, 전파 망원경, 웹스터 망원경 등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천문학은 천체에 대하여 관측하며 얻은 자료를 물리적으로 분석하는 관측 천문학 분야와 천문학적 현상들을 분석하여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이론 천문학으로 크게 나누지만 서로 상호 보완하는 관계입니다. 천체에 대하여 관측하며 얻은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이론 천문학이며 이론 천문학에서 제시한 모델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관측 천문학 분야입니다.
과거 점성술과 천문학은 같은 분야로 구분되었지만, 현재는 완전히 다른 분야로 구분해야 합니다. 천문학은 천체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점성술의 경우 인간과 천체의 움직임을 연관시키는 신앙으로 구분되어 자연과학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천문학은 시간에 따라 위치와 현상의 변화(혜성, 소행성, 초신성)가 있는 현상을 발견하고 관측이 필요한 학문이므로 자연 과학의 많은 분야 중 아마추어 학자들의 공헌이 큰 분야입니다.

반응형

댓글